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법 및 민사특별법 1강 법률 요건, 권리변동 - 채희대

by HyggeStory 2017. 9. 6.

법률행위?

일정한 법률 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의사표시를 불가결의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이다.


권리변동

I. 권리의 변동

생활관계 중 법률관계, 즉 권리관계의 발생-변경-소멸을 통칭하는 말로 권리의 주체를 중심으로 보면 권리의 취득-변경-상실이다.(호의 관계와 구별)

 

II. 권리변동의 태양(모습)

1.     권리의 발생

원시취득: 이전에 없던 권리가 새로 발생 (선의취득, 시효취득, 건물의 신축 등)

② 승계취득: 타인에게 있던 권리를 승계하는 것 (매매, 교환, 양도 등)

* 승계취득은 전의 권리의 제한이나 하자를 승계하나, 원시취득은 아무런 제한이나 하자가 없는 권리를 취득하게 된다.

㉠ 이전적 승계: 구권리자의 권리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신권리자에게 이전

포괄승계: 하나의 취득원인에 의해 다수권리 취득(상속, 포괄유증, 합병 등)

ⓑ특정승계: 개개의 권리가 개개의 취득원인에 의해 취득(매매, 증여, 사인 증여 등)

㉡ 설정적 승계: 구권리자의 권리도 존속하면서 그 권리의 일부에 대한 권리 설정

권리의 처분이란 이전과 설정을 뜻한다.

무권리자로부터 승계취득은 할 수 없으나 원시취득은 가능하다(선의취득)

2.     권리의 변경

주체의 변경: 이전적 승계와 동일 개념 -> 매매, 양도, 상속 등

내용의 변경

㉠ 양적 변경 -> 물건의 증감 및 회복

증가: 부합 혼화 가공(첨부)

ⓑ 감소: 제한물권의 설정(소유권위의 제한물권의 설정 또는 소멸), 일부변제

㉡ 질적 변경: 반환청구권 -> 손해배상청구권 선택채권의 선택, 대물변제

작용의 변경: 저당권의 순위승진, 임차권의 등기(채권이 물권적으로 작용)

3.     권리의 소멸

절대적 소멸: 목적물의 멸실, 소멸시효, 권리의 포기

② 상대적 소멸: 이전적 승계와 동일 개념(구권리자의 입장에서 볼 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