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주간 (2017년 08월 21일 ~ 2017년 08월 27일) 국내 주요 사이트 트래픽 동향

by HyggeStory 2017. 9. 5.

지난주 (2017년 08월 21일 ~ 2017년 08월 27일) PC 인터넷 순이용자수는 약보합세를 보인 반면, 업무일수가 회복되며 전체 PC 이용량은 증가하여 총체류시간과 페이지뷰는 각각 14.2%, 13.4% 상승했습니다. 연령층별로, 19~59세에 걸쳐 이용시간이 상당 부분 회복되는 모습이 목격되었습니다.



PC 카테고리별 총체류시간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기관/단체' 카테고리는 홈텍스(hometax.go.kr), 민원24(minwon.go.kr) 등 주요 기관 사이트의 방문 수요가 이전 주 연휴기간에 비해 증가하며 총체류시간이 전주 대비 30.2% 상승했습니다. '금융/부동산' 카테고리는 월말에 접어들어 은행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수요가 증가하며 총체류시간이 27.8% 상승했습니다. 반면, '게임 Web'과 '게임 App' 카테고리는 초중고생의 방학기간이 종료되며 10대 연령층의 활동성 감소로 총체류시간이 각각 13.2%, 5.2% 하락했습니다.




Industry Brief 

1) 포털 


PC 네이버의 순방문자수는 0.2% 약보합세를 유지하였으며, 총체류시간과 페이지뷰는 각각 14.3%, 13.5% 증가하였습니다. 개학을 맞이한 7~18세 초중고등학생의 총체류시간이 전주 대비 10% 이상 감소한 반면, 워킹데이를 회복한 20~40대 연령층의 총체류시간은 전주 대비 15%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검색 섹션의 총체류시간이 8.7%, 커뮤니티 섹션과 이메일 섹션의 총체류시간이 각각 20.1%, 21.6% 증가하면서 트래픽 상승세를 견인하였습니다. 


PC 다음의 방문자는 1.5% 증가하였고, 활동성은 전주 감소분의 기저효과로 페이지뷰는 18.3%, 총체류시간은 21.0% 감소하였습니다. 주요 서비스 중 검색 섹션은 통합 검색을 중심으로 지식 검색, 멀티미디어 검색 등 세부 서비스 성과가 향상되며 섹션 방문자는 3.4% 증가, 페이지뷰는 20.3% 증가하였습니다. 커뮤니티 서비스는 블로그와 카페 서비스 모두 성과가 크게 향상되어 방문자는 10.2%, 페이지뷰는 2.9% 증가하였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섹션은 방문자가 4.2% 증가, 페이지뷰는 26.4% 증가하였고, 뉴스&미디어 섹션은 방문자가 6.8% 증가, 페이지뷰는 26.1% 증가하였습니다. 


Google.com은 전주 공휴일 영향으로 하락했던 트래픽이 회복되며 순방문자가 11.7% 증가하였으며, 페이지뷰와 총체류시간도 각각 11.1%, 9.3% 증가하였습니다. 30대 이상 연령층의 활동성이 개선되었는데, PDS를 중심으로 개인화, 지도 서비스 등 이용이 늘어났습니다. Google.co.kr도 전주 하락했던 트래픽이 회복되며 순방문자와 페이지뷰, 총체류시간이 각각 5.0%, 9.6%, 1.3% 증가해 전체 사이트 성과가 상승하였습니다. 생활 서비스를 중심으로 20~30대의 활동성이 개선된 모습입니다. 


2)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 카테고리의 PC 순방문자수는 보합세를 유지하였습니다. 오픈마켓 사이트 별로는 11번가가 제휴채널을 통한 사이트 유입 및 이벤트 페이지 탐색이 증가하며 전체 순방문자수가 8.1%, 페이지뷰는 17.3%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지마켓은 20대 이하 연령층의 사이트 방문이 감소하면서 전체 순방문자수가 2.8% 하락하였습니다. 옥션은 전체 순방문자수가 전주대비 8.3% 상승하였으며 페이지뷰와 총체류시간도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별로는 위메프와 티몬은 전체 순방문자수가 각각 2.3%, 5.9% 감소하였으며, 특히 티몬의 경우 30대를 중심으로 활동성이 크게 감소하여 페이지뷰와 총체시간이 30%내외 하락하였습니다. 반면 쿠팡은 전체 순방문자수가 전주대비 10.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3) 뉴스/미디어 

뉴스/미디어 카테고리는 개학 영향으로 인해 10대의 방문이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방문이 증가하여 순방문자수가 전주대비 7.6% 증가했습니다. 페이지뷰는 40대 후반~50대를 중심으로 기사 및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여 전체 페이지뷰는 19.6% 증가하였으며, 총체류시간 역시 해당 연령을 중심으로 향상되어 16.3% 증가했습니다. 언론사별로, 조인스닷컴은 네이버 검색을 통한 뉴스 서비스 (news.joins.com) 유입 증가로 인해 전체 순방문자수 22.9%, 페이지뷰는 19.0% 증가했습니다. 조선닷컴은 스포츠조선 방문 증가와 콘텐츠 소비 증가로 인해 전체 순방문자수가 11.1% 증가했으며 페이지뷰는 2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아닷컴은 네이버 검색을 통한 뉴스(news.donga.com) 방문 증가로 전체 순방문자수가 11.3% 증가했으며 스포츠동아와 MLBPARK 콘텐츠 소비 증가로 전체 페이지뷰가 6.3% 증가했습니다. 

방송 카테고리 전체 순방문자수는 전주대비 11.9% 증가하였습니다. SBS는 프로그램 페이지 및 연예뉴스 탐색이 증가하면서 전체 순방문자수는 전주 대비 10.2% 증가하였으나, 페이지뷰는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프로그램 페이지 방문자수 1위는 '언니가 살아있다'가 차지하였습니다. KBS는 국민패널조사 관련 사이트 유입이 전체 트래픽 상승을 크게 견인하였으며, 스포츠 이벤트 시청을 위한 myK서비스 이용역시 증가하여, 전체 순방문자수가 55.1%, 총체류시간은 80%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프로그램 페이지 방문자수 1위는 '이름없는 여자'가 차지하였습니다. MBC는 방송 및 라디오 프로그램 관련 페이지 탐색은 증가하였으나, 뉴스 기사페이지 유입이 감소한 영향으로 전체 순방문자수가 5.6%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프로그램 페이지 방문자수 1위는 '죽어야 사는 남자'가 차지하였습니다. 그 외 차순위로는 ytn.co.kr, wowtv.co.kr, ebs.co.kr, tving.com순으로 순방문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4) 게임 

PC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30~40대 이외의 연령층에서 이용 유입이 하락하여 전체 순이용자수가 6.5% 감소한 가운데, 30대를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활동성이 하락하여 총이용시간은 5.2% 감소하였습니다. 주요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 별로,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피파온라인3', 마비노기 등의 타이틀에 대한 이용 유입이 하락하여 순이용자수가 12.8% 감소한 가운데, '서든어택', '던전앤파이터' 등 타이틀의 활동성이 하락하여 총이용시간은 1.3% 감소하였습니다. 네오위즈는 '야구의신 판타지', '피망 뉴맞고', '피망 하이로우' 등 보드게임의 활동성이 향상되어 총이용시간이 3.2% 증가하였습니다. NHN ent. 한게임은 '한게임 고스톱', '한게임 더블맞고', '한게임 7포커' 등 웹보드 장르 타이틀을 중심으로 이용자 유입이 상승하여 순이용자수가 10.4% 증가하였으나, 평균 활동성이 하락하여 총이용시간은 6.0% 감소하였습니다. 라이엇게임즈는 30대 후반을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이용 유입과 활동성이 하락세를 나타내며, 순이용자수와 총이용시간이 각각 19.7%, 14.4% 감소하였습니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와 '디아블로3' 등 타이틀의 선전에 힘입어 순이용자수가 2.6% 증가하였으나, '워크래프트', '오버워치' 등의 타이틀의 활동성이 하락하여 총이용시간은 6.5% 감소하였습니다. 


5) 엔터테인먼트 

PC 음악 서비스는 10대를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이용 유입이 증가하여 순방문자수가 14.9% 상승한 가운데, 20대 및 6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활동성이 상승하여 총체류시간은 9.9% 증가하였습니다. 네이버 뮤직은 앨범정보, 가사보기, 검색, 플레이어 등의 페이지에 대한 방문 유입 및 활동성이 상승하여 순방문자수와 총체류시간이 각각 20.6%, 38.8% 증가하였습니다. 멜론은 멜론티켓, 내이용권, 검색 등의 페이지에 대한 방문 유입 및 활동성이 상승하여 순방문자수와 총체류시간이 각각 16.8%, 19.1% 증가하였습니다. 지니뮤직은 플레이어, TOP100, 개인정보 등의 페이지에 대한 방문 유입과 활동성이 하락하여 순이용자수는 56.2%, 총체류시간은 66.1% 감소하였습니다. 

PC 동영상 서비스의 방문자수는 5.3%, 총체류시간은 8.3% 증가하였습니다. 유튜브는 19~34세 연령층의 유입 및 활동성이 전주 대비 상승하면서 전체 방문자수는 11.3%, 총체류시간은 6.8% 증가하였습니다. 네이버TV는 포털 프론트페이지를 통한 유입 방문자수가 회복되면서 전체 방문자수가 3.4%, 총체류시간은 24.4% 증가하였습니다. 그 외 차순위로는 gomtv.com, dailymotion.com, pandora.tv, pooq.co.kr, 순으로 순방문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6) 커뮤니티 

PC 커뮤니티 카테고리의 순방문자수는 전주 대비 5.3% 증가했고, 총체류시간 역시 5.3% 증가했습니다. 주요 서비스별로, '티스토리(tistory.com)'는 이전 주 공휴일의 영향으로 검색 유입이 감소한 데에 대한 기저효과가 발현되어 순방문자수와 총체류시간, 페이지뷰가 각각 5.2%, 26.5%, 13.1% 상승했습니다. '카카오(kakao.com)'는 PC 카카오톡 업데이트 인한 사이트 방문 증가로 순방문자수와 총체류시간, 페이지뷰가 각각 56.4%, 62.0%, 45.8% 상승했습니다. '페이스북(facebook.com)'은 40-50대 연령층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대상 연령층의 방문자수는 증가하며 순방문자수는 7.0% 상승했으나, 전반적인 활동성은 대체적으로 악화하며 총체류시간과 페이지뷰는 각각 3.3%, 14.1% 감소했습니다. 그 외 차순위로는 twitter.com, dcinside.com, instagram.com 순으로 순방문자수를 기록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