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시간:
웹 사이트 기획자가 알아야 할 최신 동향 및 핫이슈 점검 (아이파트너즈 문준호CEO)
- 성공 웹사이트 기획자 인재상이란?
대인관계가 원활(원만이 아님)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확보하고 있으며, 자리 관리가 철저한 사람이여야 한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해야하기 때문에 말한 것 같네요.)
더 나아가 ‘생각의 힘’에 스피드를 달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긍정적인 마인드도 중요하고요.
- 성공하기 위해선?
무엇을 하는 것에 집중하기 보다 스스로 어떻게 할지를 고민하는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환경은 항상 변하고, 고객들은 요구하는 것이 많고, 그래서 전략과 시스템을 고려하고 팀웤에서 나오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들을 창출해 지식을 공유해야한다고요.
SEM에서 하고 있는 작업같죠? ^^
추가로 전문가적 성장의 경우에는 시간과 노력에 성과가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발전해 간다고 했습니다. 예전에 영어 공부할 때 누군가 계단식으로 실력이 늘어간다고 했던 말이 생각났습니다. 우리의 성과가 급성장하는 그 시기를 기대하며… 첫번째 시간을 마감했죠.
두번째 시간
변화하는 3C+1P, 사이트 리모델링의 주요 이슈 점검(웹기획 컨설턴트 정유진)
우선 다 아시겠지만, 3C = Content, Community, Commerce 이고, 1P = Personalization 입니다.
우리가 사이트를 리모델링하는 이유는 결국 변화하는 컨텐츠와 커뮤니티,커머스, 개인화 때문이죠.
- 보통 사이트의 비즈니스에서 웹의 역할을 살펴보면
사람을 끌어모은다
고객을 붙잡아 둔다
재방문하게 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머리 속에 심는다
충성도를 강화한다
고객과의관계를 마련하고 지속한다.
컨버전(회원가입,구매,신청,참가) 등 입니다.
주요 이슈가 되는 점을 살펴보면,
컨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주체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거죠. 기업이 생산하고 이용자가 보던 패턴에서 벗어나서 이용자가 생산하기도 하고 보기도 하는 형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블로그도 그 형태중의 하나고요.
또한 RSS등으로 이용자들이 컨텐츠의 편집권을 갖게 되는 겁니다.
그리고 이용자들간의 커뮤니티 형성으로 소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습니다.
우리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이용자가 원하고 이용자가 만들고 이용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가 된것이죠.
우리의 뉴스에서는 현재는 100자평으로 끝나는 이용자들의 참여도를 어떻게 더 넓힐 것인지 고민하는 것도 일입니다.
그런면에서 스포츠 문자 생중계는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이용자들의 욕구, 중계를 보면서 함께 말하고 싶은 부분은 해소했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성공할 겁니다. ^^
세번째 시간
기업 웹사이트의 Experience Design을 위한 information Architecture 설계(CJ 시스템즈 이승은 차장)
이 시간은 너무 단조로운 웹사이트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 평범과 차별은 종이 한장 차이라는 말만 생각나고…
디자인시에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일관성있게 예외상황을 고려해서 해야한다는 점.
그리고 디자인이 차별화, 편한 것만이 최선은 아니라는 점도…
네번째 시간
대규모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가이드(아이파트너즈 김희성 팀장)
강사가 좀 급하게 말하는 통에 불안하게 강의를 들었던 시간입니다.
어쨌든
일반적인 웹사이트 구축의 프로세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분석 ->설계 ->디자인&개발 ->테스트 ->사이트오픈 ->운영/유지보수 ->사이트개편
분석 ->설계 - >디자인&개발 ->테스트
입니다.
보통 분석에서는 FGI를 통한 브랜드 인식조사를 하고
설계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디자인&개발에서는 콘티와 촬영(어떤 식으로 보여질지)을 합니다.
이 부분의 강의 때는 구체적인 자료를 나눠주지 않고 살짝 보여주는 PT자료가 다였는데요, 페이지별로 상당히 자세한 설명과 디자인 요구 사항 등이 있었습니다.
WCI(Web Corporate Identity)를 중심으로 설명했는데요,
기획자는 비즈니스 환경을 이해하고 정책을 결정하고 아이덴티티 요소의 분석과 수립에 힘써야 한다고 했답니다. 그리고 테스트와 평가도 고려하고.
정책 결정을 할 수 있는 WCI 담당 부서가 가이드를 주고, WCI 준수를 위한 일관성 있는 기업문화가 필요하죠. 그리고 교육과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야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다양한 사이트들이 있는데, 결국 각 섹션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거죠.
다섯번째 시간
Project의 Positioning 분석을 통한 e-Business Campaign 전략의 도출(펜타브리드 이기우 실장)
이 시간은 정말 단조로운 시간이였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프로젝트의 니즈를 확인하고
어디에 포지셔닝할지 결정해 구축하고
구축할 때 리스크를 고려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확인한다…
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여섯번째 시간
SI 프로젝트와 웹 사이트 구축 – 서비스 중심으로 (LG CNS 안무정 과장)
이 강의는 시스템통합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였습니다. 단, 예시를 든 것이 우편번호에 대한 것과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너무 재미없는 시스템 통합에 대한 것이라 너무 지루했다는 점.
웹서비스라는 것인 하나의 언어로 제한없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수정사항이나 기타 업데이트가 발생할 경우 사람이 하나하나 시스템에 접근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통합된 자료가 자동으로 각 서비스에 적용되는 것이라고…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년 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을 위한 뮤지컬 ‘날아라 슈퍼보드’ (0) | 2017.09.15 |
---|---|
EBS 국제다큐멘터리 페스티벌 경쟁작 확정 (0) | 2017.09.15 |
1년간 준비한 장애인들의 공연 ‘시선’ 휠체어를 타고 무대에 서는 그들 (0) | 2017.09.15 |
Today’s News Focus(2017. Sep. 15. Fri.) 북한 핵실험 the North's sixth nuclear test (0) | 2017.09.15 |
Today’s News Focus(2017. Sep. 14. Thu.) 신혼부부 여행비 사기 (0) | 2017.09.15 |